One day, I felt the disappearance of my apartment space. I realized something within me had vanished too. A combination of fear and awe settled in my heart. I began making a tunnel in my apartment, from the front door to the window on the other side, using white tape.
어느 날, 나는 내 아파트 공간이 사라지는 것을 느꼈다. 동시에 내 안의 무언가도 함께 사라진 것을 깨달았다. 두려움과 경외감이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나는 아파트 안에서 현관문부터 맞은편 창문까지 흰색 테이프를 이용해 직선 터널을 만들기 시작했다.
The tunnel gradually warped and shriveled, and over time, began to feel like the muscles inside my body. But it was cold, and so was I. I wanted to protect us with a firm skin. I covered the tape with cardboard, which I painted blue to match the color of my front door.
테이프의 특성에 의해 터널은 점점 뒤틀리고 쪼글쪼글해졌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되는 터널은 내 몸 안의 근육처럼 느껴지기 시작했다. 공간은 점점 차가워졌고, 나 또한 그랬다. 나는 우리를 단단한 피부로 보호하고 싶었다. 나는 흰색 테이프로 만든 터널을 박스지를 이용해 더 단단하게 고정시켰고, 그것을 현관문 색과 동일한 파란색으로 칠했다.
A sense of unity grew, a connection to the outside world, as the tunnel now linked me from inside to out, through the window, to the blue sky. I have abandoned by bodily self, and given myself to the space.
터널은 이제 나를 안에서 밖으로, 창문을 통해 파란 하늘로 연결했다. 내부와 외부는 경계가 사라지며, 일체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나는 내 육체적 자아를 버리고, 그것을 공간에 내어주었다.
A few days later, I began a kind of surgery, cutting into the space with a utility knife. Inside, I found a cancerous mass of tape in one corner, leftover from a previous project Shell in Motion. I extracted this mass, and moved it into the blue tunnel. Surgery usually ends with the stitching of the incision, but I refused. The space and I were left exposed.
며칠 후, 나는 일종의 수술을 시작했다. 커터칼로 공간을 잘라내었다. 그 안에서 이전 작업(Shell in Motion)에서 남은 테이프 덩어리가 구석에 놓여 있는 것을 발견했다. 나는 그 덩어리를 꺼내 파란 터널 안으로 옮겼다. 수술은 보통 절개 부위를 꿰매면서 끝나지만, 나는 꿰매지 않았다. 공간과 나는 노출된 상태로 남겨졌다.